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Network)/Network 101

Wi-Fi 최적 채널 설정

2.4 Ghz

채널 폭: 20 Mhz

2.4 Ghz는 사용 가능한 채널 폭이 적고 Wi-Fi 이외에 사용하는 무선 기기들의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20 Mhz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채널: 1, 6, 11 (채널 1 우선)

2.4 Ghz 밴드는 1~14 채널이 존재한다. 미국/캐나다는 1~11 채널, 이외의 대부분 국가는 1~13 채널(일본의 경우 802.11b에 한해 14 채널 사용 가능)을 지원한다. 방통위는 4채널 플랜인 1, 5, 9, 13 채널을 권장했으나 아래 이유로 3채널 플랜인 1, 6, 11을 권장한다. 채널 1이 사용률이 낮을 경우 1순위로 채널 1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인접 채널 간섭이 중첩 채널 간섭보다 안좋기 때문이다.

 

1. 모든 채널을 자동으로 사용하는 일부 제조사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무선 AP 제조사는 자동 채널을 선택할 때 1, 6, 11을 선택한다. 기본값은 대부분 잘 바꾸지 않으며 이미 많은 곳이 3채널 플랜으로 배포되었다는 의미이다.

 

2. 소출력인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 환경에서 3채널 플랜(1, 6, 11)이 4채널 플랜(1, 5, 9, 13)보다 평균 속도가 더 잘나왔다. (연구 논문 첨부)

 

3. 미국, 캐나다 등 국가에서는 12, 13 채널을 지원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일부 디바이스는 13번 채널을 사용할 경우 연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5 Ghz (실내 환경)

채널 폭: 80 Mhz 이하(일반 기업 환경의 경우 40 Mhz, 고밀도 환경의 경우 20 Mhz)

DFS 채널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거나 Voice와 같이 끊김 없는 안정적인 무선을 제공해야 할 경우 UNII-1과 UNII-3 대역을 이용해서 분배해야 한다. 주변 간섭이 없고 AP가 2대 이하로 배포하는 경우에는 80 Mhz를 사용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면 40 Mhz, 간섭이 많거나 기업 환경과 같이 다수의 AP를 배포하는 경우 20 Mhz을 사용해야 한다. 반대로 DFS 채널(UNII-2/Ext)을 사용해 채널 용량을 늘릴 수 있는 경우 일반적인 기업 환경에서도 40 Mhz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정에서도 AP가 조금 많더라도 80 Mhz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고밀도 환경과 커버리지를 극대화 해야 하는 환경에서는 DFS 사용 유무와 관계없이 여전히 20 Mhz가 권장된다.

 

주변에 간섭이 없고 최고의 속도가 필요한 경우라면 160 Mhz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국내 기준 벤더에 따라 사용 가능한 채널 수가 1개 또는 2개이며 DFS 채널을 반드시 포함해야 하고 채널 폭이 커짐에 따라 노이즈도 함께 커지므로 대부분 환경에서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다.

채널 폭 DFS 채널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 DFS 채널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20 Mhz 고밀도, 커버리지 우선 기업, 고밀도, 커버리지 우선
40 Mhz 기업 가정, SOHO
80 Mhz 가정, SOHO, 간섭이 적고 적은 수의 AP를 사용하는 경우 간섭이 거의 없고 1대 또는 2대만 사용
160 Mhz 극도로 높은 속도를 필요로 하는 경우
(간섭이 거의 없고 1대 또는 2대만 사용)
[일반적인 용도로 권장하지 않음]
사용 불가

 

채널: [1순위] UNII-1(36-48) 우선,  [2순위] 나머지는 사용 환경에 따라 선택

DFS가 필요하지 않은 36-48과 149-161 중에 세계적으로 호환성이 높은 36-48을 우선 사용하고 그 다음으로 149-161을 사용하는데 일본의 경우 UNII-3 대역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일본에서 출시된 기기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라면 UNII-2/Ext 채널을 대신 사용해야 할 수 있다. 초창기 국내 지원 기기의 경우 UNII-3 대역만 지원하기도 하므로 연결하고자 하는 기기에 따라서도 채널을 다르게 선택해야 한다. 대체적으로 전세계적으로 현대 디바이스가 공통적으로 지원하는 채널은 UNII-1과 UNII-2A 채널이다.

대역 채널 사용 환경
UNII-1 36, 40, 44, 48 우선 권장
UNII-2A (DFS) 52, 56, 60, 64 DFS 채널
UNII-2C/Ext (DFS) 100, 104, 108, 112, 116, 120, 124, 128, 132, 136, 140, 144 DFS 채널, 국가별로 채널 가용성 다름 
UNII-3 149, 153, 157, 161, 165 일본 미지원, 유럽 출력 제한

 

6 Ghz (실내 환경)

채널 폭: 160 Mhz 또는 기업/고밀도 환경의 경우 80 Mhz

한국의 경우 실내 환경에서 총 1200 Mhz(UNII-5, UNII-6, UNII-7, UNII-8) 스펙트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서 기존 5 Ghz보다 넓은 160 Mhz 채널을 저밀도 환경에서 사용 가능하며 기업이나 고밀도 환경에서도 80 Mhz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PSC와 최대 PSD를 고정하기 때문에 20/40 Mhz를 사용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 다만, UNII-5만 사용할 수 있는 국가(유럽, 일본 등)의 경우 5 Ghz와 가용 채널폭이 유사하므로 출력이 저하되더라도 5 Ghz 채널 폭 권장이 동일하게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2024년 1월 기준, 6 Ghz에서 실외 설치 및 고출력 송출(SP)이 가능한 곳은 미국 한 국가 뿐이며 AFC를 필수로 사용해야 한다.

유럽(EU)과 한국의 경우 저출력인 모바일(VLP) AP로 일부 채널에서 모바일 핫스팟은 사용 가능하다. 

 

채널: [1순위] UNII-5(1-93), [2순위] UNII-7(117-185), [3순위] UNII-6/8(97-113, 185-233)

전세계적으로 6 Ghz LPI/SP 공통 채널인 UNII-5(1-93)가 우선되고 그 다음으로 LPI/SP 공통 채널인 UNII-7(117-185), 마지막으로 나머지 채널인 UNII-6/8(97-113, 185-233)을 사용하면 된다.

 

한 줄 정리...

대역 채널 가정/SOHO 기업 고밀도
2.4 Ghz 1, 6, 11 20 Mhz 20 Mhz 20 Mhz
5 Ghz [1순위] 36-48
[2순위] 52-64 or 149-161
[3순위] 나머지
80 Mhz (40 Mhz) 40 Mhz (20 Mhz) 20 Mhz
6 Ghz [1순위] 1-93
[2순위] 117-185
[3순위] 나머지
160 Mhz 80 Mhz 80 Mhz

 

'네트워크(Network) > Network 101'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Fi 설정 권장 사항  (0) 2023.05.23
WPA3-Enterprise  (0) 2022.02.13
Fragattacks  (0) 2021.05.12
Diffie-Hellman Groups (DH Groups)  (0) 2021.05.07
TR-069(Technical Report 069)  (0) 2021.05.07